주식투자를 하다 보면 어느 날 계좌에 ‘배당금 입금’ 알림이 뜨는 날이 있어요.
처음에는 “이게 뭐지?” 싶지만, 알고 보면 꽤 쏠쏠한 수익이죠. 이번 글에서는 내가 받을 배당금 계산하는 방법부터 배당기준일, 배당수익률, 세금까지 꼭 알아야 할 정보만 정리해 드릴게요!
주식 배당금이란?
배당금은 기업이 번 돈 중 일부를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거예요. 보통 현금으로 지급되지만, 경우에 따라 주식으로 주는 ‘주식배당’도 있어요. 특히 금리가 낮은 시기에는 고배당주에 관심이 쏠리곤 하죠.
내가 받을 배당금 계산하는 방법
배당금은 아주 간단한 공식으로 계산돼요:
내가 받을 배당금 = 주당 배당금 × 보유 주식 수
예를 들어, 주당 배당금이 400원이고 200주를 보유 중이라면 400원 × 200주 = 80,000원이 바로 내 배당금이에요. 하지만 여기서 세금 15.4%를 빼야 실수령액이 됩니다!
배당수익률 계산 방법
배당수익률 = (주당 배당금 ÷ 주가) × 100 예를 들어 1,500원 배당에 20,000원짜리 주식이라면, 1,500 ÷ 20,000 × 100 = 7.5%가 배당수익률이에요.
참고로 배당성향도 중요한 지표예요. 기업이 이익의 몇 %를 배당에 쓰는지를 나타내죠.
배당성향 = 배당금 ÷ 당기순이익 × 100
배당금 받으려면 언제 사야 할까?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어요. 보통 국내 기업의 배당기준일은 12월 31일이지만, 실제 거래일 기준으로는 12월 28일(2영업일 전)까지 매수해야 합니다.
그리고 분기 배당하는 기업도 있으니, 과거 배당일정을 꼭 확인해보세요.
배당금에도 세금이 붙는다?
배당금엔 기본적으로 15.4% 세금(배당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이 부과돼요. 100만원 받으면 154,000원이 세금으로 빠집니다.
하지만! ISA 계좌나 비과세 종합저축(65세 이상)을 이용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 연 200만원까지는 비과세 혜택이 있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마무리 요약
배당금은 알고 보면 어렵지 않아요. 배당 기준일, 주당 배당금, 세금만 체크하면 내가 받을 금액을 쉽게 계산할 수 있죠. 하지만 배당만 보고 투자하면 위험할 수 있으니, 기업의 실적과 안정성도 꼭 같이 살펴보세요. 꾸준히 배당받는 투자, 장기적으로 보면 아주 좋은 전략입니다!
댓글 쓰기